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CP 모니터링
- compose.yml로 stackdriver-export 서비스 설정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 git
- kubectl 설치
- gke 클러스터 액세스 설정
- 리소스전체삭제
- stackdriver exporter
- 방화벽 오픈
- Prometheus 서버 설정
- Prometheus 서버 설치
- minikube 설치 및 실행
- prometheus 연동
- vs code로 ssh 접속
- prometheus.yml 파일 설정
- permission denied 에러 발생
- 포트 9255 설정
- 애플리케이션 기본 사용자 인증 정보
- stackdriver exporter 설치
- github 사용법
- aws-nuke
- 서비스 계정 키 설정
- prometheus dockerfile
- dockerfile로 stackdriver-export이미지 생성
- 스위치 4대 기능
- github
- GCP VM
- ADC 사용자 인증
- 리소스삭제
- prometheus 서버 서비스등록
- Today
- Total
My __ 노트
AWS RDS 이벤트 로그 조회 및 수집 본문
AWS RDS 이벤트 메시지는 Events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목차
▶ 이벤트 조회 기간
▶ CloudTrail에서 확인 가능한 범위
▶ 이벤트 로그 수집
▶ 이벤트 조회 기간
콘솔을 통해 지난 24시간 동안의 이벤트 로그만 조회가 가능하며
AWS CLI 또는 RDS API를 사용하여 이벤트 로그 조회 시 최대 지난 14일 동안 발생한 로그만 조회됩니다.
참고 링크 :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RDS/latest/UserGuide/USER_ListEvents.html
▶ CloudTrail에서 확인 가능한 범위
CloudTrail에서는 AWSapi call에 대한 기록만 확인이 되며 실제로 해당 작업이 소요된 시간이나 message 정보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 이벤트 로그 수집
RDS 이벤트 범주 및 이벤트 메시지는 다양하므로 향후 이슈 트래킹을 위해서라도 RDS 이벤트 로그를 일정 기간 보관하고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여 아래 EventBridge를 통해 로그 그룹에 RDS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겠습니다.
◈ EventBridge에서 규칙 생성
생성 방법에 패턴 양식 사용을 체크하고 이벤트 패턴은 수집하고 싶은 유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해당 글에서는 RDS DB Instance Event를 선택하였습니다.
로그 그룹에 해당 이벤트 로그들을 수집하기 위해 대상에 CloudWatch 로그 그룹을 선택하였습니다.
- 신규로 LogGroup 설정할 수도 있고
- 기존에 생성된 로그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확인
로그 그룹에서 아래와 같은 이벤트 로그들이 수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용 관리를 위해 보존 설정을 통해 로그 보관 기간을 적절히 설정해 주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클라우드 > AWS(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nuke ] 리소스 전체 삭제 진행 ( use Cloudshell ) (0) | 2023.11.10 |
---|---|
[ Systems Manager ] Private EC2의 사용자 정보를 Fleet Manager로 확인/생성/삭제해보기 (0) | 2023.11.03 |
AWS PHD 알람 설정 (3) - CloudFormation으로 Lambda를 이용하여 알림 전송 (0) | 2023.10.09 |
AWS PHD 알람 설정 (2) - CloudFormation으로 SNS와 ChatBot을 이용하여 알림 전송 (0) | 2023.10.06 |
AWS PHD 알람 설정 (1) - 콘솔에서 SNS와 Chatbot을 이용하여 알람 전송 (0)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