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ockerfile로 stackdriver-export이미지 생성
- stackdriver exporter 설치
- GCP VM
- github 사용법
- vs code로 ssh 접속
- 리소스삭제
- prometheus 연동
- aws-nuke
- minikube 설치 및 실행
- GCP 모니터링
- 애플리케이션 기본 사용자 인증 정보
- prometheus dockerfile
- 포트 9255 설정
- gke 클러스터 액세스 설정
- 리소스전체삭제
- Prometheus 서버 설정
- 스위치 4대 기능
- prometheus.yml 파일 설정
- prometheus 서버 서비스등록
- ADC 사용자 인증
- compose.yml로 stackdriver-export 서비스 설정
- 방화벽 오픈
- permission denied 에러 발생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 stackdriver exporter
- git
- github
- 서비스 계정 키 설정
- Prometheus 서버 설치
- kubectl 설치
- Today
- Total
My __ 노트
비전공자 2020년 정보처리기사 - 필기 합격 후기 본문
◆비전공자의 IT 자격증 도전기◆
있다고 크게 인정해주지는 않지만 없으면 비전공자들한테는 불리한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설상가상으로 2020년부터 시험 출제 기준이 바뀌면서 총체적으로 난국인 그 자격증!!
하지만 IT 분야로 취업을 꿈꾸고 있는 IT 꿈나무로서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서 도전하게 되었어요.
그럼 일단 시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볼까요?
▶시험 개요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자격증으로,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로서 계획 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이다." -라고 나무 위키에 쓰여 있네요. <출처: 나무위키>
개인적인 생각: 전체적으로 IT개념들을 모두 짚고 넘어간다는 느낌이었어요.
(공부할 양이 방대하다는 뜻이에요 ㅠㅠ)
▶시험 응시자격
시험을 응시하려는데 응시자격이 필요하더라구요...
응시자격을 확인하려면 아래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www.q-net.or.kr/crf006.do?id=crf00603&gSite=Q&gId=
큐넷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보니 다행히도 저는 응시자격을 갖췄더라구요. 그래도 혹시 헷갈리거나 불안하다면 각종 커뮤 티글보다는 고객 센테로 직접 문의하는 것을 추천해요! 백문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물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시험 일정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3회까지만 있을 줄 알고 "올해는 이번이 마지막 기회이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준비하고 있었는데 예고 없는 4회 차 출현으로 환호를 지름!! (내적 댄스 ~ 댄스 ~ )
▶시험 유형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 보며 필기에 합격하여야 실기 접수가 가능하다고 해요.
그러니 일단 실기는 뒤로 하고 필기부터 더 자세히 알아봐요!
문제 유형은 4지 선다형이고 총 5개 과목으로 나누어져 있어요.
각 과목당 문제는 20개씩 있으며 총 문제 개수는 100개였어요.
제일 중요한 합격 기준:
평균 점수가 60점이면 합격, 즉 100개 중 60개만 맞추면 합격!!
but 과락이 존재한다고 해요....
한 과목당 40점을 못 넘기면 다른 과목을 아무리 많이 맞아도 무용지물이라는 소리예요 ㅠㅠ
정리하자면 :
▶시험 준비 방식
* 지극히 주관적인 부분이어서 스킵하셔도 돼요! *
- 사용 교재 : 수제비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step 1 : 수제비 교재에 있는 코멘트 위주로 1번 가볍게 읽으면서 워드로 중요한 내용들 필기했어요.
필기하면서 암기하시는 분들한테 구글 드라이브에 있는 워드 강력 추천드려요! 자동 저장까지 되어서 파일 날릴 걱정도 없고 시험 보기 전에 지치지 않고 공부하려면 이방법 적극 추천드려요. (손 으로 노트 필기해봐서 아는데 댓츠 no~ no~~)
step 2 : 연습/기출문제를 연필로 1번 풀어보면서 해당 내용을 교재에서 찾아서 밑줄 치면서 읽었어요. 앞에서 정리한 워드 파일에 없는 내용은 추가 하고 있는 내용들은 한 번 나오면 노란색으로 하이라이트를 치고 두 번 나오면 주황색, 자주 나오면 빨간색으로 표기하였어요.
step 3 : 그래도 헷갈리는 내용은 과목별로 A4용지 한 장에 최대한 간략하게 정리해서 암기했어요.
여러 장 정리해 보았는데 안 보게 되더라구요. 무조건 자주 나오거나 헷갈리는 내용 위주로 정리하는 걸 추천드려요.
step 4 : 시험 보기 2일 전에는 기출문제 위주로 풀었어요.
출제 기준이 바뀌어도 출제 스타일은 쉽게 안 바뀐다고 나름 생각하여 기출문제 위주로 많이 풀어보았어요. 실제로 기출문제가 많이 나와서 너무 좋았어요. ㅎㅎ
나는 안 했지만 다시 필기를 준비한다면 꼭 할 거 같은 것 : 수제비 카페 적극 활용하기!
데일리 문제와 예상문제 풀어 보면 더 많이 맞았을 텐데 시간이 없어서 못 본 게 아쉽더라구요.
(참고로 수제비에 후원 안 받았어요😂)